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소득세법상 거주자 판정기준에 대한 외국제도와 시사점
관련 검색어 거주자 판정
  • 발행월 2011-12
  • 저 자 안종석 , 김정아 , 구자은 , 정경화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7660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 세계화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납세자가 복수 국가에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되어, 개별 납세자에 대한 세법상 지위를 어떻게 판정할지가 실무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되었음○‘선박왕’ 사건이나 ‘구리왕’ 사건처럼 세법의 규정만으로 ‘거주자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과세당국과 납세자의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거주자인지에 따라 해당 납세자에 대해 과세권을 행사할 수 있을지가 결정되고, 특정 소득에 대한 조세부담도 달라지는 법률효과가 있음○거주자인지에 대한 판정은 납세자의 세부담 및 국가의 재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임□ 이러한 배경하에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적으로 국제조세분야의 발전을 선도하는 주요 국가가 ‘거주자·비거주자의 판정기준’에 대해 어떻게 규정·적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분석하여 ‘거주자·비거주자의 판정기준’에 대한 입법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우리나라 거주자·비거주자의 판정기준

1.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구분
2. 최근의 거주자·비거주자 판정에 관한 분쟁 사례 검토

Ⅲ. 주요국의 거주자 판정기준

1. 미국
2. 캐나다
3. 일본
4. 호주

Ⅳ. 거주자 판정 규정의 국제비교 및 정책 시사점

1. 국제비교
2. 정책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