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재정위험 측정 및 관리에 관한 연구
관련 검색어 재정위험 국가부채 세수확보
  • 발행월 2007-12
  • 저 자 박형수 , 전병목 , 박상원 , 박기백 , 김현아 , 이창용 , 이항용
  • 가 격 22,000원
  • 조회수 24707
저자발간물
저자 이미지
이항용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연구에서는 재정정책당국이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정위험 측정 및 관리방안을 거시재정 측면에서의 재정총량에 대한 재정위험과 국가재정을 구성하는 각 분야별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분야별 재정위험의 2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거시재정 측면에서의 재정총량에 대한 재정위험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Hemming & Petrie(2000)이 제시한 ① 현 재정상황에 대한 부정확한 판단 ② 단기적인 경제여건 변화 등에 따른 재정의 민감도 ③ 장기적인 재정의 지속가능성 ④ 재정을 약화시키는 구조적․제도적 요인을 채택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재정의 총량적 측면에서의 위험과는 별개로 국가재정을 구성하는 개별 분야별로 재정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데, 위험의 개념 및 측정, 관리방법이 개별 분야별로 매우 상이하다. 분야별 재정위험의 대표적인 예로는 국채관리, 지방정부 및 공기업에 대한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 공적연금 등 암묵적 채무, 정부의 신용보증·예금보험·수출보험, 민자투자에 대한 수익보장 등 인센티브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Ⅳ장부터 제Ⅶ장에 걸쳐 Polackova(1998)의 재정위험 분류 방법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체계적으로 재정위험을 파악하여 그 위험정도를 측정하였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재정위험의이론적고찰

1.재정위험의정의및측정
2.뉴질랜드의재정위험관리
3.EU의재정지속가능성분석

Ⅲ.거시재정측면에서의재정위험

1.재정상황에대한판단
2.중단기적인재정의민감도
3.장기적인재정의지속가능성
4.재정을약화시키는구조적·제도적요인
5.소결

Ⅳ.중앙정부의재정위험

1.공적연금의재정위험
2.기타사회보장성기금의재정위험
3.사업성기금의재정위험
4.소결

Ⅴ.기타재정활동의재정위험

1.정부출자·투자기관
2.정부신용보증
3.민자투자및예금보험
4.보증채무및통안증권
5.소결

Ⅵ.지방정부의재정위험

1.지방정부재정위험분석의필요성
2.선행연구분석
3.우리나라지방정부구조및재정위험제도분석
4.재정위험측정
5.재정수요의내용변화에따른재정위험측정
6.우리나라정부간재정관리방향
7.소결

Ⅶ.국가부채의재정위험

1.국가부채관리의필요성
2.국가부채의위험관리
3.국가부채관리시스템의요건과기능
4.PublicDebtManagementOffice(PDMO)의설립
5.요약및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