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15-16 지방자치단체 물 공급의 재정효율성 분석
관련 검색어 수도사업통합 광역화사업 규모의 경제 지방재정 지방공기업
  • 발행월 2015-12
  • 저 자 김현아 , 김지영
  • 크 기 B5
  • 가 격 7,000원
  • 조회수 9244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물 공급 재정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구조 개편과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분석연구로서 정수장 자료를 이용하여 상수도 비용함수 추정과 규모의 경제를 측정하여 수도사업 통합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적인 분석에 앞서 우리나라 물 공급 제도 현황을 재정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보여줌으로써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들의 물공급 거버넌스 구조를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물공급 거버넌스의 특징과 개선점도 설명해 주고 있다. 향후 SOC 관련 정부 간 재원부담은 정부 간 부채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상수도 부분의 지방채 활성화와 하수도 분야의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물 공급 관련 유사사업 중복을 막기 위한 재원의 효율성을 확보방안으로 지자체가 사업 선택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기존 포괄보조사업화 방안도 제안하였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물 공급 관련 현황 및 관련기관

1. 상수도 공급 및 운영현황
2. 물 공급 관련 거버넌스 구조

Ⅲ. 상·하수도 사업 재정규모 및 부담구조

1. 물 공급 재정규모 현황
2. 상?하수도의 정부 간 재정부담 현황
3. 상?하수도 요금수준 현황 및 요인분석
4. 상수도 요금과 물 사용량과의 관계

Ⅳ. 상·하수도 사업구조 개편 및 요금수준 인상 관련 쟁점사항

1. 상수도 사업통합의 실효성 확보
2. 상?하수도 요금 인상 및 구조개편

Ⅴ. 상수도 비용함수 추정과 민간위탁 효과분석

1. 비용함수 추정 배경
2. 민간위탁 효과 분석

Ⅵ. 상·하수도 재정체계 구축 방향

1. 상수도 사업 구조개편
2. 상·하수도 요금 인상
3. 지자체 상·하수도 투자재원 확보 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