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15-01 조세정책이 경기변동에 따른 불평등도에 미치는 효과-이질적 가계 모형을 이용한 분석
관련 검색어 조세정책 경기변동 불평등도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
  • 발행월 2015-12
  • 저 자 오종현 , 박명호
  • 크 기 B5
  • 가 격 6,000원
  • 조회수 9508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연구는??가계동향조사?? 등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소득, 소비, 자산에 대한 불평등도의 수준과 경기변동에 따른 소득 및 소비 불평등도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질적 가계를 가정한 동태적 확률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조세정책이 거시경제와 경기변동에 따른 불평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미시자료 분석 결과, 불평등도의 수준은 자산, 근로소득, 시장소득, 처분가능소득, 소비의 순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적 측면에서 불평등도는 경기변동과 역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그 역행성이 아주 높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체로 경기변동에 저소득․저소비 계층이 고소득․고소비 계층에 비해 취약하지만, 때때로 이와는 반대의 현상도 나타남을 의미한다.일반균형모형을 통한 조세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소득세의 누진도와 수준, 그리고 소비세와 법인세가 증가하였을 경우 거시경제와 불평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득세의 누진도가 증가할 경우 실질 GDP가 하락하는 등 거시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불평등도는 개선되며 모든 계층의 소득과 소비는 안정화된다. 특히, 소득 및 소비의 안정화 효과는 고소득·고소비 계층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소득세의 수준이나 소비세, 법인세의 증가는 불평등도의 수준이나 동태에는 미미한 영향만 미치지만, 실질 GDP를 하락시키는 등 거시경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목차별 원문

Ⅰ. 서론

Ⅱ. 경기변동과 불평등도

1. 자료 및 방법론
2. 소득, 소비, 자산의 불평등도
3. 불평등도의 변동성과 경기변동과의 상관관계

Ⅲ. 일반균형모형

1. 이질적 가계(heterogeneous households)
2. 동질적 기업(homogeneous firms)
3. 정부(government)
4. 일반경쟁균형

Ⅳ. 조세정책의 경제적 효과

1. 모수(parameters)의 설정
2. 수치해법(numerical method)
3. 기준(benchmark)모형의 결과
4. 소득세의 누진도가 증가할 경우
5. 소득세의 수준이 증가할 경우
6. 소비세율이 증가할 경우
7. 법인세율이 증가할 경우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