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세법연구 17-02 재정정책과 조세부담의 관계 국제비교
관련 검색어 조세부담률 국민부담률 재정정책
  • 발행월 2017-06
  • 저 자 홍성훈 , 송은주 , 이서현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9502

상세 내용

□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은 점차 둔화되는 반면 정부의 재정 지출은 해마다 증가하면서 정부의 재정건전성을 담보하는 데 있어 조세정책의 역할이 중요해짐○ 정부가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 일자리 확충을 위해 노력하면서 이와 관련된 재정 지출도 자연스럽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 우리나라 경제가 예전처럼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재정 지출 증가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세제도를 개정하여 조세 수입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함○ 점차 경제성장이 둔화되어 조세 수입의 원천도 크게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가 조세제도를 개정하여 조세 수입을 늘리면, 경제 규모 대비 조세부담의 비중도 증가함□ 이러한 배경에서 조세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할 때 조세부담률, 즉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조세 수입의 비율을 주요한 정책 지표로서 고려함○ 국민부담률, 즉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 조세 수입과 사회보장기여금의 비율도 함께 주요한 지표로 이용○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은 국가 경제 내에서의 전반적인 조세부담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임□ 본 보고서에서는 조세정책의 변화와 조세부담 수준 사이의 관계를 통사(通史)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조세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할 때 기여하고자 함○ 다만 조세정책의 변화와 조세부담률이나 국민부담률과 같은 거시경제적인 지표 사이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사례 연구에 집중하고자 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배경
2. 주요 용어의 정의 및 자료 수집
3. 한국의 조세부담률 변화

Ⅱ. 일본의 조세부담률 추이 및 조세정책 변화

1. 조세부담률 추이
2. 시점별 주요 정책 변화
3. 소결

Ⅲ. 영국의 조세부담률 추이 및 조세정책 변화

1. 조세부담률 추이
2. 시점별 주요 정책 변화
3. 소결

Ⅳ. 스페인의 조세부담률 추이 및 조세정책 변화

1. 조세부담률 추이
2. 시점별 주요 정책 변화
3. 소결

Ⅴ. 독일의 조세부담률 추이 및 조세정책 변화

1. 조세부담률 추이
2. 시점별 주요 정책 변화
3. 소결

Ⅵ. 스웨덴의 조세부담률 추이 및 조세정책 변화

1. 조세부담률 추이
2. 시점별 주요 정책 변화
3. 소결

Ⅶ. 요약 및 시사점

1. 국가별 조세부담률 변화
2. 조세제도 변화와 부담률 변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