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금융상품 과세체계 선진화 방안
관련 검색어 금융상품 파생금융상품 비과세 감면
  • 발행월 2014-07
  • 저 자 홍범교 , 이상엽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2481

상세 내용

제1부: 비과세·감면 금융상품 정비 방안□ 금융상품에 대한 비과세·감면제도는 과거부터 저축증대, 금융업종에 대한 지원과 업종 간 형평성, 중산층 및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 여러 가지 정책목표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시행되어 왔음□ 변화하는 경제환경하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이들 제도의 정책목표가 현 시점에서 타당한지,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할 필요□ 2014년 현재 금융소득에 대한 비과세·감면제도는 가입기간이 종료된 것을 제외하면 15개 항목□ 현실적으로 일몰이 도래하는 다양한 상품을 일거에 정리할 수 없다면 이들 상품의 정리를 염두에 두고 일몰을 특정 기한(예: 2017년)까지 동일하게 연장시키면서 필요한 보완 조치를 취하는 것도 방안제2부: 파생금융상품 과세 방안□ 1996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파생금융시장이 개설된 이래, 신금융상품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비과세정책을 유지하여 왔음□ 그러나 파생금융상품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여 시장 개설 당시의 유치산업 보호론은 명분을 잃게 되어 정부와 국회를 비롯한 사회 각층에서 파생금융상품에 대하여 과세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수렴되었음□ 현재 국회 기재위 조세소위에서 파생금융상품에 대하여 소득세를 과세하는 쪽으로 큰 방향을 잡고 있는 상태 ○ 중장기적으로 파생금융상품시장에서의 양도소득세 도입은 조세원칙에 부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함 ○ 그러나 실제 도입하기까지는 조세행정적인 측면에서의 준비가 필요하고, 현물시장에서의 과세도 균형 있게 도입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현물시장과 마찬가지로 일단 거래세를 먼저 도입하고, 양도소득세는 준비 기간을 거쳐 현․선 시장에서 동시에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목차별 원문

제Ⅰ부: 비과세·감면 금융상품 정비 방안

Ⅰ. 서 론
Ⅱ. 금융상품 비과세·감면 제도 현황
Ⅲ. 비과세·감면 금융상품 가입 실태 분석
Ⅳ. 비과세·감면 금융상품 제도 개선방안

제Ⅱ부: 파생금융상품 과세제도 정비 방안

Ⅰ. 서 론
Ⅱ. 파생금융상품 소득세 과세
Ⅲ. 파생금융상품 거래세 과세
Ⅳ.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