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유럽재정위기 대응추이
관련 검색어 재정위기
  • 발행월 2012-04
  • 저 자 박명호
  • 가 격 0원
  • 조회수 10455

상세 내용

검토배경□ (대외충격 대비)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경제는 대외충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므로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거시경제 충격에 대비할 필요 ㅇ 유럽 재정위기가 우리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는 유럽계 자본유출로 인한 원화가치 하락과 이로 인한 물가상승, 해외자금조달 비용 상승 등임 - 유럽계 금융기관은 우리나라 전체 외채 규모의 45.2%(’11.9월 현재)를 차지 - 특히 유럽 재정위기국의 채권을 다량 보유한 프랑스, 독일, 영국 등은 유럽계가 보유한 우리나라 외채의 81.5% 차지 ㅇ EU는 우리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 미국과의 교역 규모가 크므로 EU의 경기침체 및 유로화 약세는 미국, 중국의 수출 감소로 이어져 우리 교역에 영향을 미칠 우려□ (모니터링 강화) 유럽發 재정위기가 우리경제에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감한 할 때 EU 및 IMF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위기 대응 및 시장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 ㅇ 특히 유럽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은 자본시장 개방도가 높은 한국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사시 외환보유액 활용, 외화 유동성 확보 대책 마련 등 관련 정책당국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 자세한 내용은 원문(pdf)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