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주요국의 조세제도: 대만편
관련 검색어 중국 조세제도
  • 발행월 2011-04
  • 저 자 한상국
  • 크 기 B5
  • 가 격 12,000원
  • 조회수 26483

상세 내용

한국과 대만은 상호 5대 교역국의 하나로 매우 중요한 상대이면서 국제시장에서 상호 경쟁적인 위치에 있다. 그러나 1992년 8월의 단교 이래 우리의 대만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점점 멀어져서 현재는 매우 낮은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은 경제구조가 유사해 반도체, LCD, 화학, 철강, 태양광, LED 등 주력산업에서 세계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대만의 경쟁력은 우리와 상충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중국과 대만은 2010년 6월 말에 관세철폐 및 서비스산업의 개방 및 투자자·지적재산권 보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제협력기본협정(“海峽兩岸經濟合作架構(框架)協議”: ECFA)에 서명함에 따라 대만의 국제경쟁력과 미래 성장동력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요 산업에서 중국시장과 세계시장을 놓고 대만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대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조세제도는 투자기업의 경영과 투자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다면 우리나라와 경제구조가 유사한 대만의 현행 조세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청됨에 따라 본 보고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그동안 침체되었던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대만정부는 법인세율을 대폭 인하하였고, 상속세 및 증여세의 세율을 대폭 인하하면서 단일세율체계로 전환하는 등 지속적으로 세제개혁을 단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더욱 요청되는 시점이다.

목차별 원문

제1편 총 론

Ⅰ. 경제 및 사회 환경
Ⅱ. 조세체계
Ⅲ. 재정수지획분법과 지방세법통칙
Ⅳ. 조세수입 규모 및 추이
Ⅴ. 최근의 조세개혁 동향 및 향후 전망

제2편 소득세제

Ⅰ. 종합소득세
Ⅱ. 영리사업소득세(營利事業所得稅)
Ⅲ. 소득세 양세합일제도(兩稅合一制度)
Ⅳ. 소득최저세부담제도(所得最低稅?制)
Ⅴ. 이전가격세제(移轉訂價稅制)

제3편 소비세제

Ⅰ. 부가가치형 및 비부가치형 영업세
Ⅱ. 화물세(貨物稅)
Ⅲ. 담배주류세(?酒稅)
Ⅳ. 오락세(娛樂稅)

제4편 재산세제

Ⅰ. 지가세(地價稅)
Ⅱ. 토지증치세(土地增値稅)
Ⅲ. 방옥세(房屋稅)
Ⅳ. 유산세(遺産稅) 및 증여세(贈與稅)
Ⅴ. 계세(契稅)
Ⅵ. 전부(田賦)
Ⅶ. 증권교역세(證券交易稅)와 선물교역세(期貨交易稅)
Ⅷ. 인화세(印花稅)
Ⅸ. 사용패조세(使用牌照稅)

제5편 조세행정법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