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재정적 효과
관련 검색어 지방행정체계 인구탄력성 대규모 지방자치
  • 발행월 2011-12
  • 저 자 김정훈
  • 크 기 B5 변형
  • 가 격 7,000원
  • 조회수 15609

상세 내용

한국 지자체의 평균 인구가 약 17만명인 반면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의 지방정부 평균 인구는 5만명 이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시군 합병에 대한 정치적 요구가 커서, 최근「지방행정체제개편특별법」이 제정되었고,「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본 보고서는 따라서 시군 통합이 한국에서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는 이유를 분석하였는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로는 인구탄력성이 높은 사무(사회서비스, 의료, 교육, 경찰 등) 책임을 중앙정부가 맡기 때문에 지방공공서비스의 인구탄력성이 낮고, 이는 결국 시군 통합이 규모의 경제효과를 갖게 한다. 두 번째는 우리나라 군지역의 거주지로서 매력이 낮아서 이 지역에 대한 재정지원이 많더라도 여전히 주민들은 도시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 5만명 이하 소규모 지방정부의 재정력은 유럽 및 일본의 비슷한 규모의 지방정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이상적으로는 소규모 지방자치가 바람직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적 현실을 고려할 때 대규모 지방자치가 재정적으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지방자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지방행정체제 현황 및 개편논의

1. 지방행정체제 현황
2.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
3. 현행 개편 논의의 비판적 평가

Ⅲ. 도·농 통합의 재정적 효과

1. 1995년 도농 통합 개관
2. 문헌조사
3. 지방재정 ‘규모의 경제’ 재고찰

Ⅳ. 지방공공재 수요함수와 인구탄력성

1. 지역주민의 효용극대화 모형
2. 지방공공재 수요함수 도출
3. 지방공공재 수요함수 추정
4. 인구탄력성 추정

Ⅴ. 지방정부 통합의 규모의 경제효과

1. 지역간 이주 균형 모형
2. 지방정부 통합의 규모의 경제효과 도출
3. 지방정부 적정 규모

Ⅵ. 한국의 지방자치: Quo Vadis?

Ⅶ. 요약 및 정책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