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개방경제하의 조세정책 : 경제개방이 자본소득과세에 미치는 영향과 외국인직접투자 관련 조세정책 논의
관련 검색어 자본시장통합 자본소득과세 외국인직접투자
  • 발행월 2002-12
  • 저 자 최준욱
  • 가 격 6,000원
  • 조회수 18229

상세 내용

본 연구에서는 경제개방의 진전에 따라 제기되는 조세정책 과제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두 개의 주제에 대해 검토한다. 첫 번째 연구주제는 경제개방이 조세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중장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는 ‘자본시장 통합의 진전이 자본소득과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경제개방의 진전에 따라 조세경쟁이 발생하여 법인세 또는 자본소득과세의 역할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우려의 기초가 되는 조세경쟁의 이론 등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OECD 국가들의 자료를 통해 법인세 등의 추이를 관찰한다. 기존의 이론이 예측하는 바와 현실에서 관찰된 결과와 괴리가 있는바, 이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그리고 검토결과 등에 기초하여 경제개방의 진전이 향후 조세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세정책 시사점 등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 주제는 경제개방의 진전에 따라 제기되는 조세정책 과제 중 가장 중요한 현안이라 할 수 있는 외국인직접투자관련 조세정책 문제다. 조세가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의 연구결과 등을 이용하여 논의하고, 현행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조세감면 제도 및 향후 정책방향 등에 대해 논의한다. OECD 유해조세경쟁 논의 내용 및 그로 인한 현실적 제약 등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최근에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라는 정책방향이 제시되면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위해 국내의 세제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바, 이러한 맥락에서 제기된 주장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목차별 원문

I.경제개방의진전과자본소득과세

1.서론
2.경제개방이조세에미치는영향과조세경쟁이론
3.세수구성변화와법인세추이
4.이론과현실의괴리에대한논의
5.법인세및개인에대한자본소득세
6.요약및정책시사점

II.외국인직접투자와조세정책

1.서론
2.조세가외국인직접투자에미치는영향
3.직접투자의세율탄력성에영향을미치는요인
4.외국인직접투자에대한조세감면정책
5.외국인직접투자와세제개편
6.요약및정책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