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채권시장의 미시구조 개편방안: 제한적 딜러제도의 평가와 개선
관련 검색어 채권매매거래제도 딜러제도 채권장외거래중개실
  • 발행월 1994-07
  • 저 자 최흥식
  • 크 기 B5변형
  • 가 격 4,600원
  • 조회수 6692

상세 내용

우리나라 채권시장이 외적 규모면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으나 질적인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활성화되지 못하였던 원인 중의 하나는, 채권시장의 미시구조 특히 채권매매거래제도가 조직화되어 있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流動性 低調 現象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증권당국에서는 1993년 5월 채권장외거래중개실을 설치하고, 제한적 딜러제도를 도입하였으며 공시제도를 정비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딜러제도의 도입은 채권수익률의 변동성을 축소시켜 수익률의 안정화에 기여하였으나, 채권시장의 유동성 증대에는 큰 영향을 못 미쳤으며, 아직 소액투자가들에게 채권 유동성을 제공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채권시장의 유동성 향상을 위해서는 딜러들의 채권매매한도를 확대하는 동시에 딜러 사이에 채권을 융통할 수 있는 딜러간 중개기관을 설치하고 딜러 금융을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채권시장 참여자들이 보다 정확하고 폭넓은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을 때 채권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유동성도 증대될 수 있기 때문에 전산망 확충과 딜러 呼價정보의 확대가 필요하며 이론적 채권수익률 공시체제로의 전환 등 거래정보제공 내용의 정치화가 요망된다. 이러한 채권유통시장의 정비와 함께 채권발행의 균질화, 단기금융시장의 육성, 채권수요기반의 확충 등으로 채권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채권시장의현황과문제점

Ⅲ.채권매매거래제도의유형

Ⅳ.국내채권거래제도의평가

Ⅴ.국내채권거래제도의개선방안

Ⅵ.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