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자본자유화 이후 환율변동과 수출의 가격경쟁력
관련 검색어 시장평균환율제도 원화가치 자본수지
  • 발행월 1998-03
  • 저 자 김종만
  • 크 기 B5변형
  • 가 격 3,000원
  • 조회수 11902

상세 내용

우리나라가 자본유입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평균환율제도로 이행한 1990년 3월부터 외환위기에 봉착하기 직전인 1997년 6월까지 환율변동의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를 종합할 때 그간 여러 가지 요인의 변동으로 인한 원/달러 환율의 조정이 수출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지는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상대적인 물가변동을 고려할 때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실질가치는 1990년 이후 상당폭 하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역조건의 변동을 고려할 때 1990년 이후 우리나라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간 엔/달러 환율의 변동에 대응한 원/달러 환율의 상대적인 변동도 국내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1990년부터 1995년 중반까지 엔/달러 환율이 하락(엔화가치 상승)한 기간 동안 원/달러 환율은 대부분 상승하였다. 그 이후 엔/달러 환율이 상승한 기간에는 원/달러 환율은 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자본수지의 흑자가 원화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그간 상당한 규모의 해외자본이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통화의 가치상승을 통해 수출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외환위기의국제비교

Ⅲ.자본자유화이후환율변동의요인분석

Ⅳ.외환규제및중앙은행의외화자산운영과환율변동

Ⅴ.요약및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