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한국형「EITC」도입 타당성 검토
관련 검색어 소득파악 가구단위 소득인프라
  • 발행월 2005-07
  • 저 자 김재진 , 박능후
  • 조회수 14938

상세 내용

□ 최근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근로빈곤층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경제양극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 기존의 공공부조제도를 확대하기보다는 근로의욕을 유지하면서 보다 직접적으로 소득보전을 행함으로써 소득양극화 현상을 완화하고 재정 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대안의 개발이 요구됨○ 모든 빈곤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보다는 지원대상을 근로빈곤층으로 한정하여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정부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외환위기 이후 실업률은 회복되었으나 근로빈곤층의 증가로 오히려 빈곤율은 상승하였음○ 일자리의 양극화현상으로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소득을 얻을 수 없으며,○ 고용이 불안하여 취업과 실직을 반복하는 임시?일용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가 증가□ 정부가 외환위기 이후 도입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모든 국민에게 최저한의 생활을 국가가 보장한다는 의의가 있으나 공공부조제도가 가진 특성상의 한계를 가짐○ 보충급여방식으로 인하여 근로유인효과가 없으며, 장기적으로 수급자가 정부의 지원에 안주하는 경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자산조사에 따르는 수치심이 싫어 신청을 기피하는 사각지대의 발생○ 자산조사를 행하지 않으면서도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새로운 소득보장제도의 시행이 필요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근로빈곤층의실태와지원필요성

1.근로빈곤층의실태와사회안전망현황
2.근로빈곤층의증가현황과원인

Ⅲ.외국의운영사례

1.미국의EITC(EarnedIncomeTaxCredit)
2.영국의WorkingTaxCredit과ChildTaxCredit
3.프랑스근로소득보전세제(Primepourl'Emploi:PPE)
4.벨기에근로소득보전세제:In-WorkTaxCredit
5.호주FamilyTaxBenefit및WorkingCredit제도
6.뉴질랜드의FamilyAssistance제도

Ⅳ.소득파악현황및문제점

1.근로소득
2.사업소득
3.자영농어민
4.이자배당임대연금소득

Ⅴ.EITC도입시집행가능성

1.EITC집행가능성과소득파악
2.도입시집행가능성
3.집행가능성을위한개선과제

Ⅵ.EITC도입과관련한주요검토과제

1.도입효과
2.소요재원및조달방안
3.도입시기
4.근로소득과사업소득이함께있는가구의적용방법
5.기초생활보장제도와의관계

Ⅶ.도입시검토가능모형

1.적용대상및급여수준설정방향
2.검토모형

Ⅷ.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