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KIPF 조세재정 브리프 통권 제154호]건강보험 지출전망과 재정관리방안
관련 검색어 건강보험 지출전망 재정관리 지출상한
  • 발행월 2023-12
  • 저 자 전병목
  • 크 기 A4
  • 가 격 0원
  • 조회수 2649

상세 내용

요약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평균수명 증가, 소득 증가 등으로 보건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국가의료보장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건강보험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대두

•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부담 가능한 수준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미래 지출규모를 전망하고 거시적 재정관리 방안을 모색


건강보험 지출추계 결과 건강보험 지출수준은 2022년 GDP 대비 3.9%에서 2040년 6.5~8.1%, 2070년 7.8~11.6%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우리나라의 의료지출의 소득탄력성은 0.668~0.785로 추정

• 통계청 초저출산 시나리오, 건강한 고령화 정도 반영


건강보험 재정지출 관리를 위해 건강보험정책심의회의 재정관리 기능을 분리하고 이를 담당할 별도 위원회 설치, 지출상한의 설정 및 준수기제의 도입을 제안 

• 주요 선진국들도 보험료 차등(일본, 독일), 재원배분(독일), 지출 상한(프랑스) 등 보건지출 재정관리 기제 운용 중

• 재정관리는 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 등이 참여하는 공동위원회가 수행하며 지출상한을 설정하고, 지출상한 준수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담당

• 설정된 지출상한은 국회에 보고하며, 지출상한 준수를 위해 보험급여의 일정 부분을 지출상한과 연계하여 지급하는 매카니즘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