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한국의 장기재정모형
관련 검색어 인구구조 재정 거시경제
  • 발행월 2006-12
  • 저 자 박형수 , 류덕현
  • 가 격 9,000원
  • 조회수 28805

상세 내용

본 연구는 인구구조의 변화·거시경제·재정의 3개 부문간 상호연관을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장기재정모형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재정을 중장적으로 전망해 볼 수 있는 분석기반을 마련하였다. <인구블록>, <거시경제블록>, <재정블록>으로 구분하여 장기재정모형을 구축한 후, 현재 상황에서의 인구구조 및 거시경제에 전망에 의거하여 2050년까지의 일관성 있는 장기재정추계를 실시해 보았다. 2010년까지는 2006년 9월 발표된 「2006~2010 국가재정운용계획」상의 계획치를 사용한 반면, 2011년부터 2050년까지 성별․연령별 인구, 경제성장률, 취업자 수, 항목별 재정수입 및 재정지출, 재정수지, 국가채무 등에 대한 전망치들은 본 연구에서 구축된 장기재정모형을 이용하여 추계하였다. 이러한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의 전망치 이외에 <인구블럭>의 핵심변수인 출산율과 사망률, <거시경제블럭>의 핵심변수인 성별․연령별 고용률 및 총요소생산성, <재정블록>에서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보육관련 정책 강화 및 연금개혁 등과 관련된 변수가 변동할 경우 장기재정모형에 의한 우리나라의 장기재정전망 결과가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지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및 정책 시뮬레이션(policy simulation)도 실시하였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인구부문

1.코호트요인법에의한인구추계
2.통계청의장래인구특별추계(2005년1월)
3.인구추계결과

Ⅲ.거시경제부문

1.잠재성장률
2.기타거시경제변수

Ⅳ.재정부문

1.재정전망범위
2.세입부문
3.세출부문
4.재정전망

Ⅴ.민감도분석및정책시뮬레이션

1.시나리오설정
2.민감도분석및정책시뮬레이션결과

Ⅵ.요약및결론

참고문헌

<부록>주요선진국의장기재정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