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내용
Ⅰ. 서론
1. 문제의식
2. 연구 목적 및 범위
Ⅱ. 기존 문헌 및 제도 현황
1. 기존 문헌
2. 소득파악 행정 발전 연혁 및 동향
3. 주요 분야 경제활동 현황
Ⅲ. 분석 방법
1. 분석 방법 개관
2. 설문조사 설계 방법: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설문조사(2022)
3. 시뮬레이션 분석 절차 개관
4. 정책 및 제도의 모형 반영 방법
Ⅳ. 분석 자료
1.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2.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시뮬레이션 모형 구축용
3.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설문조사(2022) 기초통계량
Ⅴ. 분석 결과
1. 조사자료-행정자료 관계 추정 결과
2.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설문조사(2022) 결과
3. 시뮬레이션 모형: 기준경제
4. 비공식 취업소득 추정 결과
5. 비공식 취업소득 반영 이후 과세 및 지원의 변화 양상
Ⅵ. 논의 및 정책함의
1. 요약 및 논의
2. 정책함의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