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지역간 의료비 지출 변이와 보건의료 재정
관련 검색어 의료비 지출 변이 unwarranted variations regional variations in health care
  • 발행월 2018-08
  • 저 자 김우현
  • 크 기 B5
  • 가 격 4,000원
  • 조회수 5814

상세 내용

본 연구는 지역간 의료비 지출 변이에 주목하여, 시군구별 의료비 지출 수준의 격차에 대해 분석하고 이 격차를 통해 보건의료 재정의 건전한 운용을 위한 정책 시사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2008~2015년 시군구별 국민건강보험공단 급여 지출, 지역의 성·연령 등 인구구조, 지역 보건의료 관련 정보, 지역 질병 정보 등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공단의 급여 지출을 설명 할 수 있는 결정 요인을 식별했다. 이후 시군구별 위험 보정 의료비 지출(risk-adjusted health care expenditure)을 추정하고, 지역간 격차의 전체 규모를 군집 분석을 통해 계산하여, 지역간 위험 보정 후 의료비 지출의 변이가 전체 국민건강보험 급여비 총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했다. 마지막으로 전체 의료비 평균 지출 수준을 기준으로 지역 간 의료비 지출 변이 중과대·과소 지출 규모를 대략적으로 추정했다.시군구별 의료비 지출은 만성질환 및 고령층의 비중이 높은 지방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인구구조 및 지역의 보건의료 정보를 통제한 이후에는 오히려 대도시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의료비 지출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 대비 약 8.2~35.4%를 차지하는 4조 7,500억~12조 4,100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지출 기준으로 과대 지출 및 과소 지출 지역을 구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비 지출의 과대·과소 지출 규모를 제시했으며, 과대 과소 지출의 구분을 위한 보다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함을 인식했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의료 서비스 수요
2. 의료 서비스 공급
3. 의료 서비스 시장 균형과 지역별 의료 이용변이
4. 국내외 선행 연구

Ⅲ. 실증분석 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기초 통계
2. 회귀분석 결과 및 위험 보장 의료비 지출 비교
3. 지역별 의료 이용 변이와 보건의료 재정

Ⅴ. 결 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