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무역 원활화를 위한 중국의 FTA 통관규정 연구
관련 검색어 FTA 통관규정 중국
  • 발행월 2012-08
  • 저 자 정재호 , 김미영 , 류태현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3670

상세 내용

□ 2011년 말 기준으로 한·중 교역규모는 약 2,200억달러이고, 약 478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2011년 현재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수입, 교역대상국임□ 한·중 FTA 관련 논의는 2004년 9월 ASEAN+3 경제장관회의에서 양국 연구기관의 민간 공동연구를 시작하기로 합의한 후 협상절차에 따라 추진되어 왔음 □ 한·중 FTA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FTA로 인한 관세철폐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비관세장벽, 원산지 규정, 원산지 절차나 무역 원활화 논의에 대한 관심은 낮은 편이며, 이는 협상의 진행에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FTA 협상 전략 마련 및 FTA 효과 극대화 등을 위하여 중국의 통관제도와 비관세무역장벽을 검증하고, 중국의 무역 원활화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체결 FTA 협정문을 비교분석하여 한·중 FTA 통관협상의 기본모델 및 항목별 협상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중국의 통관제도 및 비관세장벽 현황

1. 관세 및 통관제도
2. 비관세장벽
3. 소결

Ⅲ. 중국의 무역 원활화 논의

1. 개정교토협약
2. 국제무역의 안전과 원활화 표준에 대한 WCO Framework(SAFE Framework)
3. 무역 원활화에 관한 WTO 협상그룹
4. 소결

Ⅳ. 중국의 FTA 통관규정 비교분석

1. 중국의 FTA 현황 및 FTA 통관 규정
2. 한국과 중국의 기체결 FTA 통관규정 비교분석
3. 소결

V. 결 론

참고문헌